Search

미술계소식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방정환이 만들고 10만 독자가 사랑한 ‘어린이’
  • 작성일2023/05/05 10:11
  • 조회 101
‘어린이’ 제5권 제3호 표지.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 ‘어린이’ 제5권 제3호 표지.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저는 부모도 없고 동생도 없는 불쌍한 소년입니다. 암만해도 이곳에서는 살아가기가 어려운데 경성 지방으로 가서 취직을 하였으면 합니다. 여러 선생님의 주선으로 취직할 수가 있을까요?”(신의주 백승현)

“취직은 용이하지 않습니다. 서울은 아마 그곳보다 더 살기 어려운 곳이라고 생각합니다.”(답변)

1933년 발행한 ‘어린이’ 제11권 2호에 신의주에 사는 백승현 독자가 보낸 질문과 답변이다. 미래에 대한 걱정으로 진지한 질문을 던지지만 아쉽게도 당시에도 서울은 살기가 만만치 않았나보다. 간절한 희망을 품고 보냈을 질문에 남긴 답변이 참 현실적이다.
 
소파 방정환(1899~1931)이 만든 한글잡지 ‘어린이’의 창간 100주년을 맞아 국립한글박물관이 오는 8월 20일까지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어린이 나라’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1923년부터 1935년까지 발간한 총 122권의 잡지 중 현재 전하는 120권의 ‘어린이’를 집중 조명했다.
‘어린이 나라’ 전시관 내부. 왼편에 독자들이 보낸 편지가 수북하게 쌓아 전시했다. 류재민 기자
▲ ‘어린이 나라’ 전시관 내부. 왼편에 독자들이 보낸 편지가 수북하게 쌓아 전시했다. 류재민 기자
전시 1부 ‘어린이 잡지의 탄생’에서는 1920~1930년대 ‘어린이’ 편집실 공간을 재현했다. 김민지 학예연구사는 “‘어린이’는 일제강점기 빛처럼 등장해 아이들의 놀이터이자 배움터 역할을 했다”면서 “어린이를 새로운 세상을 열 수 있는 새로운 존재로 부각시킨 점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당시 ‘어린이’는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독자가 한때 10만명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어린이’는 1923년이 발행본이 제1권 제○호, 1924년 발행본이 제2권 제○호 등으로 분류됐다. 이번 전시에서 1923년 발행된 제1권 제5~7호, ‘어린이’의 부록 ‘어린이 신문’ 제1호(1925년)이 최초로 공개됐다. 월간지처럼 매달 발행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1926년 8월, 1927년은 5·8·9·11월, 1928년은 2·4·6·8·11월 등 일제의 검열에 걸려 발행이 안 됐던 적도 있다.

총 122권이 발행됐는데 1933년 제11권 제1호, 제11권 제4호는 실물을 못 구했다. 어린이 잡지를 모아놓은 전시벽에는 “사라진 제11권 제1호(통권 제104호)를 찾습니다”, “사라진 제11권 제4호(통권 제107호)를 찾습니다”가 적혀 있다.
‘어린이’를 찍어내는 데 사용했던 흔적도 볼 수 있다. 류재민 기자
▲ ‘어린이’를 찍어내는 데 사용했던 흔적도 볼 수 있다. 류재민 기자
2부 ‘놀고 웃으며 평화로운 세상’에서는 어린이들이 푸른 자연 속에서 마음껏 뛰놀고 세계로 뻗어나가는 모습을 체험 영상 등을 통해 보여준다. 박물관을 찾은 어린이들이 넓은 공간에서 즐겁게 놀 수 있는 다양한 체험활동이 준비됐다.

어린이들이 가고 싶은 나라를 대신 다니며 여행기를 전했던 당시 지면이 특히 부럽게 다가온다. 김 학예연구사는 “여행의 시작을 조선에서 했다는 것이 나라를 빼앗겼어도 정신만큼은 하나의 나라로 인정받기 위한 것으로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3부 ‘읽고 쓰고 말하는 세상’에서는 잡지에 실린 문학 작품, 한글의 역사 등 다양한 읽을거리와 함께 취업이 절실했던 백승현 독자를 포함한 독자들의 다양한 사연이 소개됐다.

‘현철이와 옥주’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소개된 ‘헨젤과 그레텔’을 비롯해 ‘백설공주’, ‘개구리 왕자’ 등 세계문학은 물론 독자들의 글도 실렸다. ‘고향의 봄’을 작사한 이원수(1912~1981), ‘오빠생각’을 쓴 최순애(1914~1998) 부부는 ‘어린이’가 배출한 문인이다. 작품이 실리면 메달은 주고 7개를 모으면 금메달을 주는데 두 사람 다 금메달을 받았다.
독자들이 편집자에게 보낸 사연. 류재민 기자
▲ 독자들이 편집자에게 보낸 사연. 류재민 기자
독자들이 보낸 사연은 귀여움과 천진난만함에 눈을 떼지 없게 한다.

“우리 십만 애독자 중에서 혹시 ‘어린이’ 창간호부터 대정 14년(1925년) 10월호까지 파실 분이 있으면 나에게 곧 통지해주십시오. 그러면 곧 사겠습니다.”(전주군 전주면 박만년)

“우리 방 선생님 담배를 잡숫지 말아 주십시오. 11월호 방 선생님 미행기에 보니 선생님 입에 담배가 떠날 사이가 없으시다 하오니 저희들 마음에 대단히 염려됩니다.”(고흥 어린이수양단 신을식)

“백두산 백두산! 여러분 동무들 중에서 금년 여름에 백두산에 가고 싶은 분이 계시면 같이 모여서 가십시다. 가실 뜻이 있으면 저에게 통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의하십시다.”(성진군 학동면 석호동 허수만)

전시 마지막 ‘어린이가 자유로운 행복한 세상’에서는 1923년 5월 1일 발표한 어린이 선언문의 의의와 영상이 준비됐다. 박물관은 “이번 전시를 통해 어린이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동시에 한글 콘텐츠의 가치를 통해 세계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류재민 기자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