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미술계소식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깊은 주름마저 당당한 구미호…설화 속 K할미, 세계를 호리다
  • 작성일2023/07/24 15:37
  • 조회 188

한국계 캐나다 화가 제이디 차 스페이스K서 개인전

역사·무속신앙 속 폄훼된 ‘할머니’
현대로 불러내 ‘존재의 가치’ 부여
작가의 경계인적 삶·정체성 투영
한국 샤머니즘 속 페미니즘 꺼내
신비한 이야기 탐험 같은 전시로

서울 강서구 마곡동 스페이스K 서울에서 ‘구미호 혹은 우리를 호리는 것들 이야기’ 개인전을 연 한국계 캐나다 작가 제이디 차는 ‘미래의 우리들’(사진·2023)을 통해 할머니를 지혜롭고 강인한 존재로 그려냈다.  스페이스K 서울 제공

▲ 서울 강서구 마곡동 스페이스K 서울에서 ‘구미호 혹은 우리를 호리는 것들 이야기’ 개인전을 연 한국계 캐나다 작가 제이디 차는 ‘미래의 우리들’(사진·2023)을 통해 할머니를 지혜롭고 강인한 존재로 그려냈다.
스페이스K 서울 제공



눈가, 이마, 미간엔 오래된 이야기처럼 주름이 굽이굽이 파였다. 하지만 눈빛은 형형하다. 옅은 미소를 머금은 표정에선 당당함이, 풍성하게 물결치는 은발에선 성스러움이 배어나온다. 뾰족 솟은 여우 귀가 그의 정체에 신비로움을 덧입힌다.

세계 미술계가 주목하는 한국계 캐나다 작가 제이디 차(40)가 처음 선보인 할머니 초상화의 제목은 ‘미래의 우리들’(2023). 인물의 고귀함을 부각시킨 이 작품은 나이 든 여성에게 권력과 지혜를 부여하며 존재 가치를 승격시킨다. 여성의 젊음에만 탐닉하고 노년 여성은 주변부로 밀어내며 ‘쓸모 없는 존재’로 취급해 온 현실을 과감히 전복하려는 시도다. 남성 중심적 역사에서 무속 신앙 속 하찮은 존재로 잊혀져가는 창조신 마고 할미, 교활한 존재로 폄훼됐던 구미호를 우리 시대로 불러낸 것이기도 하다.

작가는 “신화와 설화에서 노인은 사악하거나 권력을 얻으려는 악마처럼 그려지고, 서구사회에선 나이 든 여성이 존중받지 못한 채 사회에서 보이지 않는 존재가 된다. 이런 구조를 바꾸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오는 10월 12일까지 서울 마곡동 스페이스K 서울에서 열리는 그의 개인전 ‘구미호 혹은 우리를 호리는 것들 이야기’는 미약하고 미천한 존재들에게 힘과 가치를 불어넣으며 이들의 지위를 끌어올린다. 캐나다 교포 2세로 영국에서 활동하는 작가가 경계인으로 살며 겪은 진통, 정체성에 대한 통찰의 결과물인 셈이다. 대구가 고향인 어머니에게서 밤마다 들었던 구미호와 바리데기 등의 전통 설화, 학생 시절 탐구해 온 여성 주도의 한국 전통 샤머니즘 등을 재료로 독창적인 스토리텔링을 입혀 회화, 설치, 조각 등 33점을 선보였다.

작가의 뜻은 입구에서 마주하게 되는 해태를 탄 마고 할미상 ‘안내자와 짐승’에서 압축적으로 드러난다. 장군 등이 맡아온 꼭두의 리더로 마고 할미를 세우며 구전으로만 전해 오던 여성 역사, 샤머니즘 속 페미니즘을 주 무대에 올려놓는다.


동물과 혼종의 캐릭터들을 대거 주인공으로 등장시킨 대형 회화 ‘트릭스터, 잡종, 짐승’(2023)은 작가의 화두를 관통하는 집합체로 읽힌다. 성가신 존재로 여겨져온 갈매기나 교활함의 대명사인 꼬리 아홉 달린 여우, 이 둘을 합친 듯한 혼종, 작가가 키우는 반려견 등이 달과 뿔소라, 다른 차원으로 오가는 듯한 문 등 신비로운 배경 속에 한데 어우러져 있다. 중세 시대 종교화처럼 세 폭으로 펼쳐진 형식이나 제단, 사당, 무대처럼 보이는 구조물 위에 작품을 올려놓는 방식 등으로 작가는 천대받아온 동물들을 영물, 권능한 존재로 재탄생시켰다.

데님으로 만든 해태를 탄 마고 할미를 형상화한 ‘안내자와 짐승’. 왼쪽 옆에는 작가가 어린 시절 살던 캐나다 밴쿠버의 일몰을 7개의 해로 묘사한 조각보 작품이 걸려 있다. 스페이스K 서울 제공

▲ 데님으로 만든 해태를 탄 마고 할미를 형상화한 ‘안내자와 짐승’. 왼쪽 옆에는 작가가 어린 시절 살던 캐나다 밴쿠버의 일몰을 7개의 해로 묘사한 조각보 작품이 걸려 있다.
스페이스K 서울 제공


전시장 곳곳 가벽 위에서 갖가지 꼭두들의 위트 넘치는 포즈와 표정들을 발견하는 재미도 있다. ‘근육질을 자랑하는 소녀 호위무사’ 등 일부는 천장 위 조명을 통해 전시장 외부 벽에 ‘그림자 작품’으로 나타나며 또 다른 관람 포인트 역할을 한다.

전시장은 두 개의 문을 통과하면 미로를 탐험하는 듯한 동선으로 작품을 감상하게 돼 있다. “관람객들에게 여행하는 기분을 느끼거나 각각의 작품과 오롯이 대면하는 느낌을 주려 했다”는 작가의 의도가 깃든 것이다. 관람이 끝나고 이어지는 계단을 따라 2층에서 전시장을 내려다볼 기회도 놓치지 말자. 전시장 자체에도 작품들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난 전통 조각보가 구현돼 있다.

정서린 기자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