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미술계소식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불켜니 빛나네… 김시습 시간도 유물의 세월도
  • 작성일2023/09/05 10:35
  • 조회 87

호림박물관 ‘조선양화…’展 - 한밤 매화 찾아가던 조선 시인 떠오르는 ‘달빛 공간’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 공간 꽉 채운 반가사유상, 얼짱 각도 유물 비추는 ‘조명의 힘’

 

서울 강남구 호림박물관 신사분관에서 열리고 있는 ‘조선양화’ 특별전에선 김시습이 달밤에 매화를 찾으러 갔던 일화를 보름달을 형상화한 조명 등을 통해 생생하게 구현했다.

▲ 서울 강남구 호림박물관 신사분관에서 열리고 있는 ‘조선양화’ 특별전에선 김시습이 달밤에 매화를 찾으러 갔던 일화를 보름달을 형상화한 조명 등을 통해 생생하게 구현했다.


세종대왕(1397~1450)이 아끼던 천재 김시습(1435~1493)은 매화와 달을 지극히 사랑한 선비였다. 호조차 매월당(梅月堂)인 그는 매화와 달을 소재로 수많은 시를 지었고, 달이 환하게 뜬 밤에 매화를 찾아 나섰던 행복감을 ‘산 위로 달이 떠오르니/ 소박한 마음이 흡족하고 기쁘구나/ 매화 찾는 길 험난함 꺼리지 않아/ 지팡이 짚고 가시덤불 헤친다네’와 같은 시로 남기기도 했다.

시인의 마음을 달막거리게 했던 달밤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오래전 그가 사랑했을 풍경이 서울 강남구 호림박물관 신사분관에서 지난 2일 개막한 ‘조선양화朝鮮養花 꽃과 나무에 빠지다’ 전시에서 되살아났다.

제2전시실 ‘지(志) 나를 키우는 꽃’에 가면 어두운 실내에 보름달이 떠 있는 걸 볼 수 있다. 달로 향하는 길옆으로는 다양한 꽃과 나무가 그려진 백자들이 놓여 있다. 김시습이 금오산에서 매화를 찾아가던 그 밤을 상상하며 꾸민 공간이다.

이곳에는 강희안(1417~1464)이 난초 그림자를 보며 풍류를 즐겼던 것을 구현한 장소도 있다. 소반 위에 백자 술병과 술잔이 있고 벽에는 난초 그림자가 비쳐 ‘혼술’을 했을 밤을 상상하게 된다.

오래된 세월을 소환한 전시가 가능할 수 있던 데는 ‘조명의 힘’이 컸다. 은은하게 조명을 받는 백자 속 식물 그림들은 김시습이 달밤에 지나쳤을 꽃과 나무를, 보름달 모양의 조명은 그가 바라보고 나섰을 달밤을 전시실로 불러왔다. 강희안의 방을 완성한 난초 그림자는 오버헤드 프로젝터(OHP) 필름을 끼운 조명 덕에 구현할 수 있었다. 전시를 기획한 서지민 학예연구과장은 “김시습이 매화를 찾아 떠난 산행을 표현하려 달 모양을 어떻게 할지 고민하다가 보름달로 결정했다. 이번 전시는 평소보다 조명을 더 많이 썼다”고 설명했다.


조명을 통해 전체 그림을 완성한 호림박물관 사례처럼 박물관 전시에서 조명 설치는 화룡점정으로 꼽힌다. 전시 기획자들은 아껴 내놓은 유물이 얼짱 각도를 찾을 수 있도록 적절한 조명발을 끊임없이 고민한다.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등 기술이 발전하고 박물관 전시가 진열 위주에서 경험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뀌면서 조명의 중요성이 더 커졌다.

2021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개관한 ‘사유의 방’은 어두운 공간에서 반가사유상 2점을 집중해 비추는 조명이 오롯이 유물에 집중하게 만든다.

▲ 2021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개관한 ‘사유의 방’은 어두운 공간에서 반가사유상 2점을 집중해 비추는 조명이 오롯이 유물에 집중하게 만든다.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오는 10월 9일까지 진행하는 두 특별전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 ‘거장의 시선, 사람을 향하다’는 전시관 위를 올려다보면 치열하게 교차한 조명을 볼 수 있다. 유물들이 자연스럽게 얼짱 각도를 자랑할 수 있도록 고민한 흔적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이현숙 디자인전문경력관은 “전시를 열기 직전까지도 적절한 조명을 고민한다. 어떤 것은 유물에 집중하고 어떤 것은 공간을 조명하는 등 큐레이터의 의도가 들어가 조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넓은 공간에 반가사유상 2점이 놓인 ‘사유의 방’처럼 적은 유물로 공간을 채울수록 조명의 힘이 더 두드러진다.

조명이 특히 중요한 이유는 전시와 동시에 유물 보존까지 생각해야 하는 박물관의 숙명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서화나 책은 빛에 민감해 기준이 엄격하다.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이승은 학예연구사는 “무엇보다 유물 보존이 1순위”라며 “잘 보자고 조명을 밝히면 유물이 손상된다. 우리도 누리고 후손들도 누릴 수 있도록 고민한다”고 강조했다.

글·사진 류재민 기자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