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현재전시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영은미술관 개관 20주년 특별기획전Ⅰ
《영은지기, 기억을 잇다: Ⅰ 진실되게》

-

  • 작가

  • 장소

    영은미술관 제1,2전시장

  • 주소

    경기 광주시 청석로 300 (쌍령동)

  • 기간

    2020-04-07 ~ 2020-06-28

  • 시간

    10:00 ~ 18:00 (휴관일 : 매주 월요일)

  • 연락처

    031-761-0137

  • 홈페이지

    http://www.youngeunmuseum.org

  • 초대일시

  • 관람료

갤러리 가기
영은미술관은 개관 20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제1회 ‘영은지기, 기억을 잇다 :Ⅰ진실되게’를 4월7일부터 6월28일까지 제1전시장에서 개최한다. ‘영은지기, 기억을 잇다:Ⅰ진실되게’전은 그간 영은미술관과 함께 해왔던 작가와 모든 관계자들인 영은지기들을 기억하기 위한 특별기획전이다.
 
영은미술관의 개관 20주년 전시는 영은미술관이 개관 초기부터 운영해온 영은창작스튜디오 역대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특별기획전이다. 이번 전시는 2020년 4월7일부터 2021년 1월31일까지 3회(Ⅰ진실되게, Ⅱ꾸준하게 , Ⅲ가치있게)에 걸쳐 개최 되는데, 총240여명의 영은창작스튜디오작가 작품 중 200여점을 선보일 계획이다. 세 번의 전시는 제1전시장에서 영은창작스튜디오 작가들의 기수(1기~11기)에 따라 전시하게 된다. 첫 번째 전시에서는 입주 작가 1기부터 7기까지(2000년~2010년 입주 작가) 작품을, 두 번째 전시는 8기부터 9기까지(2011년~2016년 입주 작가), 세 번째 전시는 10기(2016년~2018년), 11기(~현재) 작품을 전시한다. 이번 전시는 영은미술관이 개관2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소장 작품을 한 자리에서 최초로 공개한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20주년 전시 ‘영은지기, 기억을 잇다 :Ⅰ진실되게’ 는 영은창작스튜디오의 대표작가 강형구, 김기린, 방혜자, 석철주 작가 등 50여명의 작가 작품들로 구성되었다. 입주작가들은 미술의 고유 매체인 평면 회화뿐 아니라 다양한 오브제와 주제의식을 통해 여러 형태의 작품들을 창작해 왔다. 따라서 이번 전시는 한국 근현대미술의 발자취를 되돌아볼 수 있는 중진작가의 작품부터 새로운 매체를 통해 실험적인 작품을 시도하는 신진작가의 작품까지 현대미술의 다양한 면모를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같은 기간 제2전시장에서는 영은미술관이 2000년 개관 이래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표방하고 시행했던 전시, 교육, 영은창작스튜디오, 음악회 등 다양한 영역의 아카이브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20년 동안 진행했던 주요 전시 포스터와 도록, 리플렛등을 비롯하여 영은미술관에서 작가들과 제작한 아트 상품을 전시하고, 영은미술관 전시실과 야외 조각공원, 창작스튜디오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360도 가상체험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2000년 11월4일 개관한 영은미술관은 경기도 광주시 경안천변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현대미술 전시와 연구, 창작스튜디오 운영,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복합문화공간으로써의 역할을 지향하는 미술관이다. 제1전시장인 메인 전시장을 비롯하여, 미술관 로비와 유리돔의 자연의 빛과 인공의 빛이 조화를 이루는 제2전시장, 각종 공연과 세미나를 진행할 수 있는 제3전시장(영은홀), 젊은 작가들과 실험적인 작품이 어울리는 제4전시장 그리고 계절마다 장관을 이루는 조각공원과 야생화밭을 갖추고 있어 관람객들은 다양한 전시 관람과 체험이 가능하다.
 
<20주년 특별기획전I 참여작가>
 
 
1기 (2000-2001)
김기린, 김범, 김소라, 김형대, 박무림, 박소영, 육근병, 이항아, 황성준
 
2기 (2001-2002)
로마나 슈말리히, 류엔시웨이, 류시퉁, 방혜자, 이윰, 정소연, 토마스 노보트니
 
3기 (2002-2003)
권오상, 김나영, 김아타, 김주연, 데비한, 윤영석, 최지만, 탐리, 탕황췐
 
4기 (2003-2004)
김종학, 김주현, 남기호, 방유신, 안성희, 정은모, 쥬니치로 이시, 진유영, 함연주, 후앙란야
 
5기 (2004-2005)
김윤경, 박미나, 배병규, 사사, 석철주, 이한수, 지니서, 한기창, 황혜선
 
6기 (2006-2008)
강형구, 권기범, 김건주, 김시연, 나진숙, 남경민, 류신정, 문영오, 박선영, 소진숙
이경, 이소영, 이진혁, 조병왕, 홍성철
 
7기 (2008-2010)
강영민, 강유진, 권오인, 김영섭, 박용식, 박주욱, 유봉상, 임지현, 정명, 정현영
크리스토프 리즈, 크리스티나 누녜스, 하명복, 홍유영


□ 주요 작품 이미지 & 작가 소개

   
▲ 김기린, 안과 밖(Inside outside), 캔버스에 유채, 115x163cm(2pieces), 2001

1기 김기린
김기린은 물리적인 현상에서 회화 작업을 하고자 흑과 백을 택하여 십여년 동안 작업하였다. 시간의 변화에 따라 수시로 색이 변한다는 원리에 따라 검정도 색으로 간주하였고, 검정이 빛을 낼 수 있도록 수십 번 덧칠하여 검정이 빛을 흡수할 수 없을 단계까지 계속 칠한다. 검정이 빛을 먹고 흰 색이 빛을 뱉는 것과 반대로 검정이 빛을 발하고 흰색이 빛을 흡수할 수 있을 때까지 덧칠한 후 작품을 끝내는 것이다. 흔히 서양 회화에서 흑과 백은 색으로 간주하지 않지만 그의 단색 작업에서는 흑과 백도 색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방혜자, 빛의 눈, 펠트위에 자연채색, 204x500cm, 2005

2기 방혜자
방혜자의 회화는 빛의 회화로 요약된다. 두꺼운 천의 표면과 이면 모두 물감을 반복적으로 칠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색과 색은 서로 관통하고 자유롭게 겹쳐져 마치 빛이 화면 깊은 곳에서부터 서서히 배어 나오는 효과를 만들어 낸다.
 


▲ 윤영석, 맹목연습, 3-Dphoto, 알루미늄 프레임, 77x67x11cm, 2004.

3기 윤영석
윤영석은 렌티큘러를 사용하여 농구공의 다중이미지가 관객의 동작에 따라 실제로 움직이는 것 같은 착시를 일으키게 한다. 관객은 연속된 이미지를 보고자 스스로 움직이게 된다. 작가는 “조각의 개념이 공간의 차원에서 시간의 차원으로 진행되고 있다”라고 발언한 바 있다. 이 작품 또한 끝없이 반복된 농구공의 움직임을 통해 시간과 공간을 다루고자 하는 작가의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진유영, 디딤 쇠소깍 C35P113, 사진, 수채, 디지털 작업, 프레임, 2004

4기 진유영
진유영은 사진을 스캔하고 컴퓨터상에 나타난 디지털이미지의 화소를 부분적으로 지우고 프린트해 다시 수채화 작업을 함으로써 현재 위치해 있는 회화의 출구를 찾고자 시도한다.
 

▲ 석철주, 생활일기-설악동, 캔버스에 아크릴, 먹, 목판, 130x162cm, 2005

5기 석철주
석철주는 한국화의 현대화를 끊임없이 연구해오고 있는 작가이다. ‘물로 그리기’라고 칭해지기도 하는 작가의 작업방식은, 캔버스에 흰색이나 검은색의 바탕을 칠한 뒤 그 위에 바탕색과 반대되는 색을 덧칠하고 이 물감이 마르기 전에 맹물을 적신 붓으로 대상을 그려낸 후 재빨리 마른 붓으로 여러 번의 붓질을 가하는 과정을 거친다. 한국화의 ‘일회성’과 서양화의 ‘덧칠’등 다양한 요소들이 한 작품 안에서 어우러지면서 작가는 전통의 수용과 현대적 변용을 보여준다.
 

▲ 강형구, 자화상, 캔버스에 유채, 388x257cm, 2005

6기 강형구
강형구의 작품은 ‘내면적 극사실주의 회화’라고 할 수 있다. 오랫동안 인물의 얼굴을 극사실주의적으로 캔버스에 담아 온 작가는 철저하게 대상을 재현하지만, 그 재현이 너무나 현실적이어서 오히려 비현실적인 느낌을 준다. 특히나 관객을 압도하는 작품의 크기는 그러한 비현실성, 허구성을 이끌어내는 큰 요소이다. 관람객은 그림을 바라보며, 각자들만의 생각과 느낌을 바탕으로 그림과 대화하고 교감하게 된다.



▲유봉상, p20090505, 나무위에 못과 아크릴, 225x70cm, 2009

7기 유봉상
오랫동안 전통적 매체의 회화를 다루어 왔던 유봉상은 2000년부터 못 작업에 매진해왔다. 추상적인 풍경에서부터 숲과 바다를 거쳐 샤르트르의 성당에 이르기까지 유봉상은 못으로써 회화의 전통적 테마를 새롭게 조망해보고, 오로지 못으로 색다른 부조(릴리프)적 회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