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전체보기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박주애 개인전 <허공에 차오르는>

Juae Park solo exhibition : < Rising in the voids >

  • 작가

    박주애

  • 장소

    갤러리2

  • 주소

    서울 종로구 평창길 204 (평창동)

  • 기간

    2023-07-06 ~ 2023-08-05

  • 시간

    10:00 ~ 19:00 (휴관일 : 매주 일, 월요일)

  • 연락처

    02-3448-2112

  • 홈페이지

    http://www.gallery2.co.kr/

  • 초대일시

  • 관람료

갤러리 가기
갤러리2에서 박주애 개인전 <허공에 차오르는> 개최

갤러리2에서는 박주애 개인전 <허공에 차오르는>을 개최한다. 박주애는 살면서 느끼는 갈등과 결핍을 작업의 모티프로 삼았다. 이번 전시는 회화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주변을 필사적으로 탐색한 과정을 담아냈다. 특히 그가 주목한 곳은 제주도의 곶자왈이었으며 넝쿨이 폭포처럼 쏟아져 내리고 이끼가 돌에 붙어 악착같이 살아가는 모습을 보며 자연이 갖는 무질서와 강한 생명력에 매료되었다. 작가는 어수선하면서도 강한 생명력을 가진 곶자왈을 보며 자신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게 된다. 어쩌면 그곳의 식생과 자신을 동일시 한 것은 작가도 제주도에서 태어나고 자랐기 때문인지 모른다. 그러니 자신이 나고 자란 자연을 표현하는 것은 곧 자신을 표현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총 65점의 신작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8월 5일까지 진행된다.

박주애는 살면서 느끼는 갈등과 결핍을 작업의 모티프로 삼았다. 해외에 잠시 체류할 때 경험했던 외로움과 소외감은 캔버스 천에 보고 싶은 사람을 그리고 솜으로 채운 인형 작업의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아이를 갖고 싶은 마음은 흙으로 그 마음을 담아낸 토템적인 도자기 작업의 시발점이었다. 자신의 고민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데 집중했던 그에게 매체나 장르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다. 오히려 다양한 매체를 습득하고 표현하는 과정은 작가에게 새로운 영감이 되고 삶의 여러 문제를 극복하는 하나의 수단이 됐다. 사실 그의 내면에는 회화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망설임이 있었다. 이것이 작가가 그동안 드러내지 않았던 속마음이다.

이번 전시는 회화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작가가 자신의 주변을 필사적으로 탐색한 과정을 담아냈다. 그는 스스로 ʻ굶주린 들개처럼 세상을 킁킁거렸다’고 말한다. 그렇게 탐색하고 다닌 곳은 바로 숲이었다. ʻ숲’에 작업의 소재가 있지 않겠냐는 막연한 생각에 제주도의 곶자왈을 돌아다녔다고 한다. 곶자왈은 화산 활동 중 분출한 용암류가 만들어 낸 불규칙한 암괴지대로 이끼와 덤불 등 다양한 식생을 이루는 제주도의 숲을 말한다. 그곳은 경작이 불가능한 버려진 땅이었지만, 그로 인해 오히려 다양한 동식물이 공존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 작가는 넝쿨이 폭포처럼 쏟아져 내리고 이끼가 돌에 붙어 악착같이 살아가는 모습을 보며 자연이 갖는 무질서와 강한 생명력에 매료되었다.

박주애는 어수선하면서도 강한 생명력을 가진 곶자왈을 보며 자신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게 된다. 왜냐면 그 역시 정리되지 않은 복잡한 생각들과 그림에 대한 강한 열망으로 가득 차 있었기 때문이다. 어쩌면 그곳의 식생과 자신을 동일시 한 것은 작가도 제주도에서 태어나고 자랐기 때문인지 모른다. 그러니 자신이 나고 자란 자연을 표현하는 것은 곧 자신을 표현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자연을 통해 학습한 선과 형태들이 바로 그림이 된 것은 아니다. 작가는 입체 작업에서부터 자연에 접근한다. 와이어를 구부려 줄기를 만들고 직접 바느질한 천으로 잎사귀를 만들어 곶자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넝쿨을 형상화했다. 전시 공간 안에서 자유롭게 뻗어나가는 넝쿨 작업을 보며 그는 이 모습을 캔버스에 옮겨내는 상상을 하게 된다.

캔버스 화면에서 복잡하게 얽혀있는 넝쿨은 캔버스 앞에서 헤매는 작가의 모습이다. 처음에는 넝쿨과 이끼 버섯의 형상을 인체와 접목해 은유적으로 자연을 표현했다. <흐르는>, <계절을 토해 내는 숲>은 자연을 소재로 한 초기작업이다. 자연이 만들어 낸 숲의 형상을 화면에 옮겨 담았다. 그는 이것이 ʻ자연을 통해 그림을 배우는 과정’이었다고 말한다. 그림은 검은색, 파란색, 녹색이 주를 이룬다. 이 어둡고 습윤한 색조는 나무와 넝쿨이 우거져 빛도 잘 들어오지 않는 곶자왈의 모습을 반영한다.

이후에 식물의 형성은 생략되고 자연과 섞여 있는 (인간을 닮은) 생명체의 모습이 화면의 주인공이 된다. <허공에 차오르기>는 후반부 작업을 대표한다. 100호 캔버스가 4개로 구성된 이 대형 회화는 곶자왈을 은유하는 짙고 어두운 색조의 유기적인 선들과 생명체들이 화면을 가득 채운다. 이 생명체들은 대부분 분주하게 ʻ어딘가’로 가고 있으며 때로는 쓰러져 있거나 녹아내리고 있다. 그들은 그림을 그리면서 겪는 작가의 감정과 태도를 반영한다. 캔버스 앞에서 분주하게 움직이고 좌절하고 포기하고 지치다가 다시 또 어디론가 열심히 달려가는 모습 말이다. 명확한 그림의 ʻ목적지’가 존재한다면 캔버스 앞에서 그 누구도 방황하지 않을 것이다. 화가는 그저 고군분투할 뿐이다.

박주애는 자신의 작업이 ʻ간증’과 같다고 말한다. 간증은 종교적으로 자기반성이나 종교 생활에 대한 경험담을 통해 성실한 신앙생활을 영위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공식적인 발화이지만, 어떤 특정한 형식에 얽매이지는 않는다. 솔직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는 것이 형식이라면 형식일 것이다. 작가는 스스로 뭔가를 교정하거나 단점을 숨기지 않고 그 자체를 드러냄으로써 그림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고 싶었다고 한다. 결국 (그리고 언제나) 그에게 작업이란 자신의 고민이나 힘든 상황을 ʻ물질’로 치환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극복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나갔다. 그는 전복된 상황을 작품으로 보여주는 것이 사람들에게 위로가 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이것을 어떻게 돌파할지가 제일 중요한 법이다.




허공에 차오르기1 Rising in the voids1, acrylic on canva, 260.6x324.4cm, 2023



계절을 토해 내는 숲 The forest vomits the season, acrylic on canvas, 130.3x162.2cm, 2022



숲의 양막1 The amniotic membrane of the forest1, acrylic on canvas, 130.3x162.2cm, 2023



흐르는 Flowing, acrylic on canvas, 130.3x162.2cm, 2022



하늘걷기 Walk in the sky, acrylic on canvas, 162.2x130.3cm, 2023



Boiling1, acrylic on canvas, 117.3x91.5cm, 2023



Boiling2, acrylic on canvas, 117.5x80.5cm, 2023



허공의 냄새 The smell of the air, acrylic on canvas, 80.5x117.5cm, 2023



참을 수 없는6 Unbearable6, acrylic on canvas, 41x27.3cm, 2023




박주애 (b. 1990)

학력
2014 제주대학교 예술학부 서양화과 졸업

개인전
2023 허공에 차오르는, 갤러리2, 서울
2021 박주애, 갤러리2, 서울
2020 Breast Milk, 새탕라움, 제주
2019 Yourself, yours, 갤러리2, 서울
2016 피를 데우는 시간, 아트스페이스 씨, 제주

단체전
2022 어떤 삶, 어떤 순간, 금호미술관, 서울
       1명의 어린이와 1000명의 어른들, 울산시립미술관, 울산
       NEW RISING ARTIST <탐색자>,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ZZZ SPACE, 새탕라움, 제주
2020 줌인이아. 예술공간이아, 제주
2019 예술로 항해하기, 제주시 관덕로 11길 16, 제주
       제주신화 상상갤러리-나의 이야기, 신화이야기,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
2018 SOLOSHOW, 해담하우스, 서울
       박주애 이승미 이해강, 갤러리2 중선농원, 제주
       Conectivity-jeju, 대안공간루프, 서울
       Oh! open house “Tours Emerald Hill”, Emerald Hill, 싱가폴
2017 제주비엔날레 “투어리즘”,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로터스 랜드, 광주아시아문화전당, 광주
       시즌 2 레지던시 오픈스튜디오 & 전시, 뉴욕 브루클린 나르파운데이션, 뉴욕, 미국
2016 AR TOWNS: 와랑 와랑 모다드렁전,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로컬 투 로컬 이종교배: 지역으로부터 정치, 대안공간 아트포럼 리/오픈스페이스 배, 부천/부산
       청춘을 달리다,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15 아트 & 아시아 제주전, 제주 컨벤션센터, 제주
       청년작가 초대전 “현장”전, 제주 문예회관, 제주
       청년작가전 “결별”전, 제주 이중섭 미술관, 제주
2014 제주 젊은 여성작가전 “예술 스타디움”, 제주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
        ASIAF, 문화역 서울 284, 서울
       제주 청년작가 선정 및 단체전, 제주문예회관, 제주
       제주도미술대전 수상작,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청년작가 4인전 “미숙아, 미숙아”, 강남 유나이티드 갤러리, 서울
2011 상상 환상 날개를 달다, 아트스페이스 씨, 제주
2010 전윤숙 박주애 “꿈을 꾸다” 모녀전, 제주 문예회관, 제주

선정 / 레지던시
2017 나스 파운데이션 아티스트 레지던시 프로그램 NARS(New York Art Residency and studio), 뉴욕, 미국
2013 제주도립미술관, 제주특별자치도 미술대전 대상 수상
2010-2013 제주 여성영화제 포스터 작가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소장
제주현대미술관 소장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