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미술계소식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한지 위 옛 서울… 내일의 삶이 배어 나온다
  • 작성일2020/04/03 10:08
  • 조회 480
16~19세기 지도 산수화 기록화 125점
조선시대 화가들 작품 집대성해 분석
"기억이 없다면 미래 꿈꿀 수 없다"며
저자는 그림 속 위치 찾아 십수 년 발품
저자가 조선 역사상 최고의 걸작으로 꼽는 ‘한양전경도’. 현재의 서울 중구 필동 노인정에서 청와대 뒤 백악산(현 북악산, 그림 가운데 다소 검은 봉우리)을 보며 그린 그림이다. 19세기 김수철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 저자가 조선 역사상 최고의 걸작으로 꼽는 ‘한양전경도’. 현재의 서울 중구 필동 노인정에서 청와대 뒤 백악산(현 북악산, 그림 가운데 다소 검은 봉우리)을 보며 그린 그림이다. 19세기 김수철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옛 그림으로 본 서울/최열 지음/혜화117/436쪽/3만 7000원

옛 한양을 그린 그림 한 폭이 있다. 생애가 잘 알려지지 않은 19세기 화가 김수철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한양전경도’다. 현재 청와대 뒤 백악산(북악산)을 중심에 두고 왼쪽으로 우백호(右白虎) 인왕산, 오른쪽으로는 좌청룡(左靑龍) 응봉을 그려 넣었다. 멀리로는 삼각산(북한산)에서 뻗어 나간 도봉산의 산줄기가 하늘에 잇닿아 있다. 한양의 기운이 어디서부터 흘러왔는지 일러 주려는 듯하다. 산 아래로는 궁궐을 비롯한 수많은 집을 그렸다.
도시의 유흥 문화를 빼어나게 묘사했던 혜원 신윤복의 ‘주유청강’. 현 지하철 옥수역 앞의 포구였던 두모포에서 뱃놀이를 즐기는 선비와 기생들의 모습을 그렸다.
▲ 도시의 유흥 문화를 빼어나게 묘사했던 혜원 신윤복의 ‘주유청강’. 현 지하철 옥수역 앞의 포구였던 두모포에서 뱃놀이를 즐기는 선비와 기생들의 모습을 그렸다.


태조 이성계가 한양으로 천도한 것은 1394년, 지금으로부터 꼬박 626년 전이다.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양은 경성, 서울 등으로 이름만 바뀌었을 뿐 중심도시로서의 위용은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옛 그림으로 본 서울’은 대도시 서울의 옛 풍경을 그림으로 만나는 책이다. 미술사학자인 저자가 조선 시대 화가들의 그림을 집대성해 분석하고 있다.

‘옛 그림으로 본 서울’은 읽는 책인 동시에 보는 책이다. 그림을 우선순위에 두고 배치했다. 모든 그림에는 그림의 대상이 오늘의 어느 자리에서 어디를 보고 그린 것인지를 설명하는 문장이 한 줄씩 붙어 있다. 저자는 “설명은 한 줄이지만 그림 속 풍경이 오늘의 어디인지를 밝히기 위해 십수년 발품을 팔아 왔다”고 밝혔다.

책에 실린 그림은 모두 125점이다. 그림 지도, 기록화, 산수화 등 16세기부터 19세기 사이에 제작된 다양한 그림이 담겼다. 이 덕에 궁궐이나 명승지 등 파편화한 한양의 이미지를 넘어 조선의 수도였던 한양의 전모를 가늠할 수 있게 됐다. 숫자보다 중요한 건 겸재 정선부터 그림만 남기고 ‘미상’으로 남은
 

작가들까지, 조선미술사에서 위대한 업적을 쌓은 화가 41명의 작품을 접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들이 남긴 그림 속 풍경들은 서울이라는 도시의 근원, 풍경과 일상, 역사의 기록과 개인의 추억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든다. 오늘날의 서울은 확장된 개념이다. 19세기까지는 사대문을 중심으로 이른바 도성으로 불리던 곳이 한양이었다. 책에서 대상으로 삼는 ‘서울’ 역시 오늘의 서울 이전, 그러니까 한양이라 불리던 바로 그 시절 그곳이다. 책은 한양을 모두 8개 권역으로 나눴다. 도봉산에서 삼각산(북한산), 백악산을 거쳐 서소문을 경유한 뒤 한강의 광나루와 행주산성까지를 통째로 살핀다. 그림 속 풍경이 그저 감상의 대상인 것만은 아니다. 그곳에 사람이 살았고, 이들이 살아 냈던 시간은 곧 역사가 된다. 그림을 통해 풍경 너머 정권 쟁탈의 현장을 만나고, 힘없는 나라의 현실을 눈앞에 둔 군주의 회한을 엿보거나, 현재 이뤄지는 일상의 풍경이 어디에서 비롯됐을까 분석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도시는 끝없이 변화하며 새로운 모습을 만들어 나간다. 근대 이후 서울의 시간은 무수한 기록과 이미지로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근대 이전, 그러니까 서울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조선의 옛 풍경은 그저 감상의 대상으로 소비되거나 지엽적인 기억의 복원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뿐이다. 저자는 “기억이 없다면 내일을 꿈꿀 수 없다”면서 “서울을 그린 옛 그림을 보며 아름답던 한양과 마주하는 순간의 감동이야말로 미래의 서울을 가꿀 유의미한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