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미술계소식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거리 미술관] 버들선생
  • 작성일2021/08/10 16:10
  • 조회 357
내 삶의 일곱빛깔 무지개를 그려보자

 
▲ 대한민국예술인센터의 버들선생

 
중국의 동진시대 시인 도연명은 스스로를 ‘오류(五柳)선생’으로 불렀다. 그는 어지러운 세상과의 타협을 거부한 채 공무원 생활을 접고 고향으로 돌아간다. 고향에서 그는 집 앞에 버드나무 다섯 그루를 심어놓고 스스로를 오류선생이라 부르며 자연을 벗삼아 ‘무릉도원’이라는 이상적인 사회를 갈구했다. 도연명에게 버드나무는 자기 위로와 성찰의 나무였다고 볼 수 있다.

서울 양천구 목동의 대한민국예술인센터의 측면 모퉁이에 가면 오류선생을 닮은 ’버들선생‘이라는 나무가 있다. “어지러운 세상에 휩쓸리지 않고 유유자적한 오류선생처럼 살고 싶었다”는 이일호(75) 조각가가 한국예총의 의뢰로 2011년에 만든 작품이다. 스텐인레스 재질이며 높이가 6m 높이다.

버들선생은 온통 회색이다. 물가에 가지를 늘어뜨린 초록색의 버드나무와는 딴 판이다. 멀리서 보면 회색 먼지를 뒤짚어쓴 듯 흉물스럽게 보일 때도 있다. 가까이 가서보면 반듯한 수백개의 회색 가지들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수백개의 가지들은 우산 살대를 거꾸로 뒤집은 것처럼 땅바닥을 향해 엉킴없이 수직으로 제 몸을 늘어 뜨리고 있다. 손으로 몇가닥 가지를 잡아 흔드니 차~앙하며 맑고 긴 소리를 낸다.


 
▲ 햇살아래 빛을 내는 버들선생

 
이 조각가는 “물 흐르듯 유연하고 넉넉하나 꺾이지 않는 현자의 성품을 버들선생의 의미로 추상화했다”고 설명한다. 버들선생은 예술인센터의 한 가운데가 아닌 측면 모퉁이에 있다. 이때문에 작가의 작품제작 취지에도 불구하고 일반인의 눈길을 잡기에는 위치적으로 아쉬움이 있다.

“유연한 버드나무와 단단한 스테인리스 재질이 이질적으로 보인다”라는 지적에 그는 “무엇을, 어떻게 표현하느냐가 현대예술의 흐름이며 그 중요테마 가운데 하나가 낯설게 하기”라면서 청소년 시절 얘기를 꺼낸다.

유난히 조숙했다는 그는 고교 시절 카뮈, 사르트르 등 실존주의에 관한 철학책을 많이 읽으면서 어떻게 살 것인가를 고민했다. 그런데 이런 고민을 거듭하면 할수록 더 허망한 생각이 들고 적절히 대처할 수 없음을 알게 됐다는 그는 내가 잘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는 것으로 생각을 정리했다고 한다. 이러한 생각은 작품활동을 할 때, 무엇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로 이어졌고 ’낯설게 하기‘로 구체화 됐다.


 
▲ 버들선생의 몸통


스테인리스 가닥을 겹겹이 이어 붙였는데 진짜 나무처럼 보인다.
이 조각가가 이 작품을 만들고 2년 뒤 제작한 인천 배미꾸미 조각공원에 있는 버들선생도 이러한 낯설음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다. 인천 옹진군의 모도 남쪽 해변에 있는 이 조각공원에는 바위 위에 자리잡은 버들선생 등 그의 작품 80여점이 전시돼 있다.

대나무나 소나무가 지조와 절개의 상징이라면, 버드나무는 이 조각가에게 자연관조와 성찰의 상징이다. 버들선생은 오류선생처럼 주변의 이합집산에 아랑곳하지 않고, 스스로를 되돌아보며 내면의 근육을 키우고 있다.

버들선생이 예술적 영감으로 창작활동을 하듯, 일반인에게도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는 영감은 저마다 있을게다. 비온 뒤 자연이 그리는 일곱빛깔 무지개에 환호하듯, 좌절과 번민에 빠질지라도 미소와 웃음을 잃지않는 일상을 만들어보자.

※ ‘거리 미술관’은 거리의 공공미술품 가운데 접근성, 작품성, 화제성 등을 중심으로 매주 1회씩 작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작품 감상을 통해 매말라 가는 정서를 순화하고 삶의 활력도 되찾기를 기대합니다. 거리 미술관에 소개하고 싶은 공공미술작품이 있으시면 culture@seoul.co.kr로 연락주십시오.

글·사진 박현갑 eagleduo@seoul.co.kr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