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미술계소식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상처 입은 자연을 위한 비가/미술평론가
  • 작성일2021/08/26 09:52
  • 조회 270


길게 베어진 상처처럼 입을 벌린 자갈 채굴장 위에 소용돌이치는 하늘이 드리워져 있다. 붉은 흙이 드러난 등성이에 나무 그루터기가 묘비처럼 남아 있다. 왼쪽 원경의 울창한 숲이 이 광경을 음울하게 바라보고 있다. 이 숲도 조만간 같은 운명이 될지 모른다. 이 그림에는 사람이 등장하지 않지만, 사람이 남긴 잔인한 흔적이 역력하다.

에밀리 카는 평생 자연을 그렸다. 캐나다 서부의 빅토리아에서 태어난 카는 1899년 미술 공부를 위해 영국으로 건너갔다. 그러나 달라진 환경과 보수적인 교육 제도에 적응하지 못하고 정신질환을 얻어 요양원 신세를 졌다.

1904년 집으로 돌아간 화가는 캐나다 서부 해안을 따라 알래스카까지 여행했다. 당시 이 지역은 토착민 마을이 드문드문 있을 뿐 사람의 발길이 미치지 않은 상태였다. 카누를 타거나 걸어서 이동해야 했고 악천후와 벌레, 외로움을 견뎌야 했다.

이 경험은 이후 그녀의 삶과 예술 세계를 결정지었다. 그녀는 울창한 삼림, 토템이 늘어선 토착민 마을의 신비한 아름다움에 빠져들었다.

유럽 취향에 기울어져 있던 관객과 화단은 그녀의 그림을 무시했다. 그녀는 민박집을 운영하고 양치기 개를 길러 팔면서 토착민들 사이에서 가난하게 살았다. 돈이 없어서 페인팅 오일을 휘발유로 희석하고, 값싼 마분지에 그림을 그렸다. 1927년 캐나다 국립미술관 관장 에릭 브라운이 전시회를 조직하면서 오십 살이 넘은 카를 세상으로 끌어냈다. 사람들은 비로소 그녀의 독특한 세계에 찬탄을 보냈다.

하지만 20세기 초반 몇십 년 사이에 자연은 빠르게 망가져 가고 있었다. 나무를 베어 낸 자리에 산업시설이 들어서고 토착민들은 생활 터전에서 내몰렸다.

카가 말년에 그린 그림들에는 상처 입은 자연에 대한 슬픔과 미래에 대한 공포가 어른거린다. 속살을 드러낸 산등성이를 휩쓰는 바람, 떨리는 햇빛, 비명이 퍼져 나가는 하늘이 묻는다. “자연을 파괴한 후 인간의 삶은 어떻게 될 것인가?” 그리고 인간은 이렇게 팬데믹 속에서 길을 잃고 있다.


이미혜 미술평론가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