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전시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色에 홀딱 빠진 흑백
  • 작성일2021/06/17 09:43
  • 조회 290

이강소 화백 개인전 ‘몽유’

일필휘지의 검은 획으로 펼친 작품부터
형형색색 회화까지 작품 변화상 한눈에
“이토록 멋진 색들을 두고 뭐 했나 싶더라
나를 유혹하는 색채 계속 실험하고 싶어”

주황색과 노란색 아크릴 물감으로 붓질한 바탕 위에 오리 또는 배를 닮은 형상을 그린 ‘청명-20018’(2020).  갤러리현대 제공 ▲ 주황색과 노란색 아크릴 물감으로 붓질한 바탕 위에 오리 또는 배를 닮은 형상을 그린 ‘청명-20018’(2020).
갤러리현대 제공
“색이 나를 유혹했다.”

흰 캔버스 위에 역동적으로 붓질한 검은 획들의 하모니로 그림인 듯 글씨인 듯, 추상인 듯 구상인 듯 자신만의 독창적인 회화 세계를 펼쳐 온 이강소 화백이 달라졌다. 흑과 백, 회색 등 무채색을 사용해 수묵화 같던 평면 작업에 주황, 노랑, 초록 등 형형색색 눈부신 빛깔의 조화가 더해졌다. 모노톤 회화가 내면을 성찰하게 하는 깊이감으로 발길을 붙든다면 컬러 회화는 넘치는 생동감으로 시선을 사로잡는다.

이 화백은 16일 서울 삼청동 갤러리현대에서 개막한 개인전 ‘몽유’에서 컬러 회화를 처음 선보였다. 그는 “20년 전 사둔 아크릴 물감을 우연히 꺼내 칠해 보니 색이 너무 아름다웠다. 이렇게 멋진 색깔을 놔두고 지금까지 뭐 했나 싶더라”며 “나를 유혹하는 색채를 계속 실험하고 싶다”고 했다.

 
이번 전시에선 1990년대 말 제작한 ‘강에서’ 연작과 2000년대 중반 발표한 ‘샹그릴라’, ‘허’(虛) 연작, 2010년대 이후 현재까지 이어 온 ‘청명’ 연작 등 회화 30여점을 소개한다. 지난 20년간 펼쳐 온 회화 작업의 정수와 변화상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자리다.
1999년 제작한 ‘강에서-99184’. 중국 양쯔강을 유람할 때 느꼈던 감동을 대형 캔버스에 붓 가는 대로 그렸다.  갤러리현대 제공 ▲ 1999년 제작한 ‘강에서-99184’. 중국 양쯔강을 유람할 때 느꼈던 감동을 대형 캔버스에 붓 가는 대로 그렸다.
갤러리현대 제공
서울대 미대에서 회화를 전공한 그는 1970년대 ‘신체제’, ‘A.G’(한국아방가르드협회), ‘서울현대미술제’ 등을 주도하며 한국 실험미술운동의 최전선에 있었다. 설치, 퍼포먼스, 사진, 비디오, 판화, 조각 등 매체를 넘나들며 새로운 표현 방식을 끊임없이 시도했다. 전시장에 선술집을 차리고, 미술관에 닭을 풀어놓는 파격적인 퍼포먼스는 미술계에 신선한 충격을 안겼다.

미술 전반을 아우르는 광폭 활동 속에서도 전통 회화 양식을 탈피한 평면 작업에 대한 실험을 멈추지 않았다. 캔버스 천의 실밥을 한 올씩 뽑거나 몸에 칠한 물감을 닦은 캔버스용 광목천을 바닥에 펼쳐 놓기도 했다. 물감과 붓을 사용해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건 뉴욕주립대 객원 미술가로 미국에 머물던 1985년부터다.

그는 “그때는 마구잡이로 붓질하고, 칠했다. 색채도 강렬했다. 어릴 때부터 익힌 습관적인 표현과 색깔을 벗어날 수 없었다”면서 “이미지를 더 자유롭게 그려야겠다는 생각에 어느 겨울날 자주 들르던 동물원에 갔는데 얼음 웅덩이에서 노는 오리의 모습에 감동받아 그 형상을 화폭에 담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강소의 트레이드 마크인 오리 그림이 탄생한 배경이다. “오리를 그렸지만 내가 보기에도 오리와 많이 다르다. 오리인 척하는 이미지를 차용한 건데 보는 사람에 따라 오리이기도 하고, 아니기도 한 그 찰나의 간극이 재밌다”고 그는 덧붙였다.
작품 앞에 선 이강소 화백. “습관적인 붓질로부터 조금씩이나마 벗어나고자 노력했다”는 그는 “계속 실험하고 모험하지 않으면 작가의 생명력은 약해진다”고 말했다. 갤러리현대 제공 ▲ 작품 앞에 선 이강소 화백. “습관적인 붓질로부터 조금씩이나마 벗어나고자 노력했다”는 그는 “계속 실험하고 모험하지 않으면 작가의 생명력은 약해진다”고 말했다.
갤러리현대 제공
단색화적인 흑백 그림을 고수해 온 건 동양화의 전통인 기운생동을 보다 잘 드러내기 위해서였다. 기 에너지에 관심이 많았는데 일필휘지의 붓질로 만물의 기운을 화폭에 품으려다 보니 색을 자제하고 형체에 집중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이제는 나를 표현하기 위해 색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색이 나를 택하는 방식으로 충분히 색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게 됐다”고 했다.

‘꿈속에서 노닐다’는 뜻의 전시 제목 ‘몽유’(夢遊)는 장자가 말한 ‘나비의 꿈’처럼 “이 세계가 실은 꿈과 같다”는 화백의 철학적 세계관을 담고 있다. “각자 경험에 따라 현실은 달리 보이며, 그림도 마찬가지”라는 그는 “내가 어떤 의도를 갖고 그리는 게 아니라 써지는 대로, 그려지는 대로 그림이 완성되는 과정을 따른다”고 말했다. 전시는 8월 1일까지.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