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미술계소식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문화마당] ‘동시대’의 미술 읽기/이양헌 미술평론가
  • 작성일2020/02/13 10:05
  • 조회 716
이양헌 미술평론가
▲ 이양헌 미술평론가


학술적인 비평과 이론을 소개하는 미술잡지 ‘옥토버’(October)는 2009년 가을호에서 흥미로운 설문을 진행했다. 그랜트 캐스터, 권미원, 제임스 엘킨스 등 저명한 비평가와 큐레이터들이 참여한 이 설문에는 ‘동시대 미술(Contemporary art)이란 무엇인가’라는 다소 막연한 질문이 담겨 있었다. 

현대미술(Modern art)이나 오늘날의 미술(Today art), 지금 여기의 미술(Nowhere art)이 아니라 왜 ‘동시대 미술’인가. 설문 응답자들은 공통적으로, 대단한 전문가들인데도 질문에 대한 근거와 이유를 명확하게 답하지 못했다. 대신 동시대 미술이 바로 그 모호성으로 인해 역사적 규정이나 개념적 정의, 비평적 기준이 불가능해 보이지만 핵심적인 가치로서 이미 미술계에 확산됐다고 입을 모았다.

동시대 미술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단순히 동시대(the contemporary)와 미술(art)이라는 두 단어의 합성어로서, ‘동시대’ 또는 ‘현재’(the present)를 다루는 미술이라 정의하는 건 적절해 보이지 않는다. 이는 미국 뉴욕현대미술관(MoMA)에서 이제 막 관객을 기다리는 최신 작품부터 오늘날 만들어지는 오스트리아 원주민 미술 모두를 배제하지 않고 포괄한다는 문제를 가진다. 동시대 미술에 대한 정의는 그러므로, 그것이 관계하는 지금 또는 현재가 ‘무엇이며 또한 언제인가’라는 질문을 촉발하며, 특히 그 연원이 되는 시대적 분기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킨다.

동시대의 계보를 분석한 철학자 피터 오즈번은 동시대 미술이라는 용어가 1945년 이후, 1960년대, 1989년에 각기 다르게 적용됐다고 말한다. 1945년 이후 소련을 비롯한 동유럽에서 자본주의의 역사적 현실을 비판하는 작품을 가리켜 ‘컨템퍼러리’라는 말을 사용했다고 한다. 1960년대에는 퍼포먼스, 미니멀리즘, 개념미술 등의 새로운 미술운동을 지칭하는 의미로 쓰였다. 1989년에는 세계화에 따른 비엔날레, 아트페어 등으로 생겨난 이른바 글로벌 아트의 출현이 동시대 미술과 등치된다.

오즈번은 시대별로 상이하게 적용된 동시대 미술의 용례를 제시하면서 그 어원적 기원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사실 그의 논의가 시사하는 건 다른 데 있다. 동시대 미술이 지정학적, 역사적 관점에 따라 서로 다르게 규정됐다는 건 무엇을 의미하는가라는 문제다. 이는 동시대가 일종의 ‘작동하는 허구’(operative fiction)로서, 관찰자의 지정학적 시점에 따라 시대 구분이 가변적으로 변화하는, 본질적으로 상상력의 생산적인 행위라는 점을 말해 준다. 또한 현재는 그 자체로 경험 속에 주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동시대는 가능한 경험을 초월했다는 점에서 ‘이념’적이며,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기능하는 ‘픽션’(fiction)에 가깝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시대적 구분은 매우 서구적인 시각에 기반하고 있다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모든 정의를 묻는 일이 그렇듯 동시대 미술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답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우리는 다른 우회로를 통해 그 답에 도달할 수 있다. 지금 우리가 어떤 시간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 시간을 담지한 작품은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을 통해 말이다. 

1989년 냉전 종식, 문화적 가치관의 세계화, 인터넷의 확산, 신자유주의 경제의 우세 등 급격한 사회적 변동 안에서 우리에게 새로운 시간(들)이 생겨나고 있는지도 모른다. 지역이 품고 있는 고유의 시차가 사라진 단일한 세계-시간, 혹은 더이상 선형적으로 흐르지 않고 정체돼 있거나 과거와 미래가 복잡하게 뒤엉켜 있는 비동시적인 시간(들)이 유동하면서 우리 앞으로 내려앉는다. 그리고 어떤 작품들은 그런 시간을 활성화하고 우리에게 내보인다. 동시대 미술로서 말이다.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213030003&wlog_sub=svt_026#csidxbee74e5a4df096395d49c2424f3c2bc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