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전시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산수화는 이기적 욕망의 산물이었다 <서울신문>
  • 작성일2019/10/17 10:07
  • 조회 479
한중 작가 8명 ‘산수-억압된 자연’展
인간 시각으로 자연을 해체한 삼원법 등 자연친화적 화풍이란 기존 인식 뒤집어
류철하 관장 “정체된 산수화 담론 전환”



 ▲ 이응노 화백의 1982년 작 ‘군상’은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인물 군상을 장면에 따라 다양한 투시법으로 그린 작품이다.
     이응노미술관 제공


지금까지 미술계에서는 동양미술을 크게 작가의 개입 여부를 기준으로 서양미술과 구분 지어 왔다. 동양의 산수화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담는 자연 친화적 화풍인 반면 서양의 풍경화는 작가의 주관적 해석이 개입한다는 식이다. 우리 선조들은 금수강산을 즐기며 그 모습 그대로를 화폭에 옮겨 담아 왔다고 여겨 왔다.

그러나 이런 인식을 완전히 뒤집는 주장이 나왔다. 동양의 산수화는 지극히 인간 중심적인 해석이며 나아가 자연을 억압하는 시각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을 품은 한국과 중국 작가 8명이 의기투합해 지난 15일부터 대전 서구 이응노미술관에서 국제전 ‘산수-억압된 자연’을 선보이고 있다. 윤재갑 중국 상하이 하우아트뮤지움 관장과 류철하 이응노미술관장이 공동 기획한 이번 기획전은 산수화를 구성하는 3개의 시점인 ‘삼원법’(고원·심원·평원)과 동양적 자연관에 깃든 인간 중심적 시각을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윤 관장은 11세기 북송의 화가 곽희가 저서 ‘임천고치’에 서술한 ‘삼원법’을 설명하면서 “대상을 아래에서 위로, 뒤에서 아래로, 또 정면에서 바라본 시점으로 구성하는 것은 서양의 원근법보다 더 대상을 철두철미하게 해체했다가 재조립하는 과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동양의 선조들이 즐긴 분재는 자연 산물의 발육을 억제해 미적 만족을 취하려는 행위로, 풍수지리사상을 자연을 인간의 부귀영화에 이용하는 지극히 이기적인 욕망으로 규정했다. 이런 생각은 산수화와 동양의 자연관을 넘어 현대문명에 이르러서는 잠재된 감시의 시선에 대한 비판으로 확장된다.

윤 관장의 기획의도는 전시장소와도 연결된다. 프랑스 파리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이응노(1904~1989) 화백은 1967년 ‘동백림 간첩단 조작사건’으로 강제 소환돼 옥고를 치렀고, 작고하기 전까지 국내활동과 입국이 금지됐다. 이번 기획전에 전시되는 이 화백의 ‘군상’ 병풍은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인물 군상이 장면에 따라 다양한 투사법으로 표현된 작품이다. 국가 권력을 향한 저항의 필치는 역설적으로 자유와 평화, 공생·공존의 메시지를 전한다. 

한국 작가 김지평은 ‘자연·인간·종교’라는 문명의 조합을 여성의 관점에서 재조명했다. 불교나 유교사상이 여성이라는 인간을 지속적으로, 불공평하게 억압해 왔음을 작품을 통해 표현한다. 

이 밖에 중국 작가 션샤오민은 억압받는 자연을 철제도구와 분재를 통해 표현한다. 그는 “분재는 일상에서 식물을 가꾸고 감상하는 자연친화적 행위로 여겨지지만, 사실은 식물 성장을 억압하고 인간의 미의식에 맞게 재단하는 폭력성이 담긴 행위”라고 강조했다. 

류 관장은 “이번 전시는 그간 미술계에서 정체된 산수화 담론 전환을 위해 마련됐다”면서 “동양 미술계가 새롭게 발전하고 생산적인 담론이 형성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시는 12월 22일까지 이어지며, 매달 마지막 수요일에는 무료 개방한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Go Top